분류 전체보기 881

사자성어/호랑이(虎)와 관련된 사자성어(四字成語)10가지(2)

사자성어/호랑이(虎)와 관련된 사자성어(四字成語)10가지(2) 오늘은 호랑이와 관련된 사자성어 두 번째로 10가지 정리해 보았습니다. 1. 삼인성호(三人成虎) 석삼(三). 사람인(人). 이룰성(成). 범호(虎) 사람 셋이면 없던 호랑이도 만들어 낸다는 뜻으로, 거짓말도 여러 사람이 말을 하면 진실로 믿기 쉽다는 의미입니다. 2. 양질호피(羊質虎皮) 양양(羊). 바탕질(質). 범호(虎). 가죽피(皮) 속은 양이고 겉은 호랑이라는 뜻으로, 겉모습은 화려하고 훌륭하나 내실이 없고 실속이 없음을 이르는 말입니다. 3. 호시우행(虎視牛行) 호랑이호(虎). 볼시(視). 소우(牛). 갈행(行) 호랑이처럼 노려보고 소처럼 간다는 뜻으로, 예리하게 꿰뚫어보고 신중하게 행동함을 뜻하는 말입니다. 4. 담호호지(談虎虎至) ..

사자성어/호랑이(虎)와 관련된 사자성어(四字成語)10가지(1)

사자성어/호랑이(虎)와 관련된 사자성어(四字成語)10가지(1) 오늘은 호랑이와 관련된 사자성어에는 어떤게 있는지 10가지 정리해 보았습니다. 1. 양호유환(養虎遺患) 기를양(養). 범호(虎). 끼칠유(遺). 근심환(患) 범을 길러 화근을 남긴다는 뜻으로, 은혜를 베풀어 준 이로부터 도리어 해를 입게 되어 스스로 화를 자초했다는 말입니다. 유의어로 양호후환(養虎後患 : 범을 길러 화근을 남긴다)과 자업자득(自業自得 : 스스로 저지른 일의 과보를 스스로 받음)이 있습니다. 2. 호미난방(虎尾難放) 범호(虎). 꼬리미(尾). 어려울난(難). 놓을방(放) 잡았던 범의 꼬리를 놓기 어렵다는 뜻으로, 어떤 위험한 일을 시작해 놓고 계속할 수도 그만둘 수도 없는 곤란한 상황을 이르는 말입니다. 3. 포호함포(咆虎陷浦..

사회와 시대가 반영된 신조어들/딘트족 딘스족 유미족 우피족 펫팸족

사회와 시대가 반영된 신조어들/딘트족 딘스족 유미족 우피족 펫팸족 시대의 흐름에 따라 생겨나는 신조어들. 나름 많이 알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었는데 최근에 새롭게 신조어들을 알게 되었습니다. 직장 후배들과 대화 도중에 딘트족, 딘스족, 우피족 등 생소한 단어들의 등장에 시대에 조금씩 뒤처지고 있는게 아닌가 생각이 들더라고요. 알쏭달쏭 다양한 OO족 신조어들 10가지 정리해 보았습니다. 1. 펫팸족(Petfam) 펫(Pet)과 패밀리(Family)를 합친 합성어로, 반려동물을 가족처럼 여기면서, 아끼고 사랑하며 함께 생활하는 사람을 뜻합니다. 2. 리터루족(Returoo) 리턴(Return)과 캥거루(Kangaroo)를 합친 합성어로, 결혼을 위해 독립했던 자녀들이 다시 부모에게 돌아오는 현상을 가리키는 말..

부동산 신조어/맥세권 슬세권 팍세권 욕세권 병세권 아시나요?

부동산 신조어/맥세권 슬세권 팍세권 욕세권 병세권 아시나요? 오랜기간 '역세권'은 부동산에서 최고의 입지로 꼽고 있습니다. 최초의 'O세권'이 아마 '역세권'일 것입니다. 요즘은 '역세권'외에도 무수한 'O세권'의 부동산 신조어들이 탄생되어 사용되고 있습니다. 다양한 'O세권'들. 오늘은 부동산 신조어로 몇 가지 정리해 보았습니다. 1. 역세권 지하철역이 가까이 있는 주거지역을 이르는 말입니다. 지하철역이 가깝다 못해 딱 붙어있으면 초역세권, 지하철 노선이 교차되어 있는 갯수에 따라서 더블역세권, 트리플역세권, 쿼드러플역세권까지도 있습니다. 대단하네요. 2. 학세권 주위에 학교, 유치원, 학원 등 교육시설이 밀집되어 있어 자녀들 교육환경이 좋은 주거지역을 이르는 말입니다. 특히, 도보할 수 있는 거리에 ..

사자성어/개(犬)와 관련된 사자성어(四字成語) 10가지(2)

사자성어/개(犬)와 관련된 사자성어(四字成語) 10가지(2) 지난번 포스팅에 이어서 오늘 두번째로 강아지(개)와 관련된 사자성어 10가지 정리해 보았습니다. 1. 양두구육(羊頭狗肉) 양양(羊). 머리두(頭). 개구(狗). 고기육(肉) 양머리를 걸어놓고 개고기를 판다는 뜻으로, 겉은 훌륭해 보이나 속은 그렇지 못한 것을 이르는 말입니다. 2. 견토지쟁(犬兎之爭) 개견(犬). 토끼토(兎). 갈지(之). 다툴쟁(爭) 개와 토끼의 다툼이라는 뜻으로, 양자의 싸움에서 제 3자가 이익을 본다는 의미로 쓸데없는 다툼을 이르는 말입니다. 3. 당구풍월(堂狗風月) 집당(堂). 개구(狗). 바람풍(風). 달월(月) 서당개 삼 년이면 풍월을 읊는다는 뜻으로, 무슨 일이라도 하는 것을 오랫동안 보고 듣고 하면 자연히 할 줄 ..

사자성어/개(犬)와 관련된 사자성어(四字成語) 10가지(1)

사자성어/개(犬)와 관련된 사자성어(四字成語) 10가지(1) 요즘 주위에 보면 애완견을 정말 많이들 키우시더라고요. 1인 가구들이 많아지면서 애완견을 가족으로 키우는 경우가 더욱 많아진 것 같습니다. 공원을 산책하다보면 강아지 데리고 산책 나온 광경들을 많이 볼 수가 있습니다. 오늘은 사람들로부터 사랑을 듬뿍 받고 있는 강아지(개)에 대한 사자성어로 10가지 정리해 보았습니다. 1. 이전투구(泥田鬪狗) 진흙니(泥). 밭전(田). 싸울투(鬪). 개구(狗) 진흙탕에서 싸우는 개라는 뜻으로, 명분도 없이 서로 볼썽사납게 싸우는 것을 비유하는 말입니다. 2. 토사구팽(兎死狗烹) 토끼토(兎). 죽을사(死). 개구(狗). 삶을팽(烹) 토끼 사냥이 끝나고 나면 사냥개를 삶아 먹는다는 뜻으로, 쓸모가 있을 때는 요긴하..

사자성어/소(牛)와 관련된 사자성어(四字成語) 10가지(2)

사자성어/소(牛)와 관련된 사자성어(四字成語) 10가지(2) 동물들은 저마다의 특징들이 다 있습니다. 소(牛)는 서두르지 않는 여유와 우직함, 꾸준함과 성실, 자애로운 성품을 소의 덕목으로 꼽을수 있을거 같습니다. 이러한 소의 덕목을 생각하며, 오늘은 소와 관련된 사자성어 10가지를 두번째로 정리해 보았습니다. 1. 호우호마(呼牛呼馬) 부를호(呼). 소우(牛). 부를호(呼). 말마(馬) 소라고 불러도 말이라고 불러도 신경쓰지 않는다는 뜻으로, 누가 뭐라고 하든 신경쓰지 않고 게의치 않는다는 의미입니다. 2. 우답불파(牛踏不破) 소우(牛). 밟을답(踏). 아니불(不). 깨뜨릴파(破) 소가 밟아도 안 깨어진다는 뜻으로, 사물이 매우 견고함을 이르는 말입니다. 3. 망양득우(亡羊得牛) 잃을망(亡). 양양(羊)..

사자성어/소(牛)와 관련된 사자성어(四字成語) 10가지(1)

사자성어/소(牛)와 관련된 사자성어(四字成語) 10가지(1) 오늘은 일복이 많은 소(牛)와 관련된 사자성어로 10가지 정리해 보았습니다. 1. 구우일모(九牛一毛) 아홉구((九). 소우(牛). 한일(一). 털모(毛) 아홉 마리의 소가운데서 뽑은 한 개의 털이라는 뜻으로, 대단히 많은 것 중 아주 적은 것을 비유할 때 쓰는 말입니다. 유의어로는 조족지혈(鳥足之血 : 새발의 피), 대해일속(大海一粟 : 넓은 바다에 떨어뜨린 한알의 좁쌀)등이 있습니다. 2. 우이독경(牛耳讀經) 소우(牛). 귀이(耳). 읽을독(讀). 지날경(經) 소귀에 경읽기라는 뜻으로, 우둔한 사람은 아무리 가르쳐 주고 알려주어도 알아듣지 못해 효과가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입니다. 3. 호시우보(虎視牛步) 범호(虎). 볼시(視). 소우(..

사자성어/닭(鷄)과 관련된 사자성어(四字成語) 10가지(2)

사자성어/닭(鷄)과 관련된 사자성어(四字成語) 10가지(2) 오늘은 지난번 포스팅에 이어서 두번째로 닭과 관련된 사자성어를 정리해 보았습니다. 익히 알고 있는 사자성어들도 있지만 생소한 사자성어들도 있을거예요. 새롭게 정리한 10가지 한번 살펴 보겠습니다. 1. 군계일학(群鷄一鶴) 무리군(群). 닭계(鷄). 한일(一). 학학(鶴). 무리 지어 있는 닭 가운데 있는 한 마리의 학이라는 뜻으로, 여러 평범한 사람들 가운데 있는 뛰어난 한 사람을 이르는 말입니다. 유의어로는 계군일학(鷄群一鶴), 학립계군(鶴立鷄群), 계군고학(鷄群孤鶴)등이 있습니다. 2. 우정팽계(牛鼎烹鷄) 소우(牛). 솥정(鼎). 삶을팽(烹). 닭계(鷄) 소를 삶을 수 있는 큰 가마솥에 닭을 삶는다는 뜻으로, 큰 인재를 알맞은 곳에 쓰지 못..

사자성어/닭(鷄)과 관련된 사자성어(四字成語) 10가지(1)

사자성어/닭(鷄)과 관련된 사자성어 10가지(1) 어릴적에 방학이면 시골 외할아버지댁에 자주 놀러가곤 했었습니다. 시골마당이 굉장히 넓어서 마당 한켠에는 외양간도 있었고 닭장도 있어서 아침이면 외할아버지께서 소죽을 만들기도 하셨고, 닭사료를 닭장에 넣어주기도 하셨어요. 간혹 닭장문을 열어 닭들이 마당에서 뛰놀게도 하셨는데 닭들이 떼로 몰려다니며 쪼아대는게 어릴적엔 싫었고 또 겁도나서 피해 다니기도 했었어요. 옛부터 시골에서는 소, 닭, 돼지들이 가계에 큰 보탬이 되는 경제원천이지요. 그래서 사람들과 친숙한 소, 닭, 돼지들의 속담이나 고사성어들도 많은가 봅니다. 오늘은 닭과 관련된 사자성어로 10가지 정리해 보았습니다. 1. 계란유골(鷄卵有骨) 닭계(鷄). 알란(卵). 있을유(有). 뼈골(骨) 계란에도 ..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