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940

외래어표기법/외래어 표기의 기본원칙/많이 틀리는 외래어 앙케트 파이팅 프라이드치킨

외래어표기법/외래어 표기의 기본원칙/많이 틀리는 외래어 앙케트 파이팅 프라이드치킨 우리는 일상에서 대화할때 외래어(外來語)를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외래어(外來語)란, 외국으로부터 들어와 한국어처럼 사용하고 있는 단어를 말합니다. 우리가 현재 자주 사용하고 있는 외래어는 1986년 제정. 고시된 외래어표기법(外來語表記法)을 따르고 있으며, 외래어 표기의 그 기본원칙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외래어 표기의 기본원칙 가. 외래어(外來語)는 국어의 현용 24자모만으로 적습니다. 현용 24자모란 자음 14자와 모음 10자를 말합니다. 외래어는 따로 문자를 만들어 쓰지 않으며, 국어의 현용 24자모만으로 적습니다. 나. 외래어(外來語)의 1음운은 원칙적으로 1기호로 적습니다. 예를 들면, (f)의 경우 'ㅎ' ..

사자성어/교훈(敎訓) 관련 사자성어(四字成語)10가지(2)

사자성어/교훈(敎訓) 관련 사자성어(四字成語)10가지(2) 오늘은 교훈(敎訓) 관련 사자성어 10가지를 두 번째로 정리해 보았어요. 하나씩 살펴보겠습니다. 1. 자업자득(自業自得) 스스로자(自). 업업(業). 스스로자(自). 얻을득(得) 불교(佛敎)에서 제 스스로 저지른 일의 과보(果報)를 제스스로 받음을 뜻하는 말로, 자기가 저지른 일은 결과에 대해서 스스로가 져야 함을 이르는 말입니다. 2. 역지사지(易地思之) 바꿀역(易). 땅지(地). 생각할사(思). 갈지(之) 처지(處地)를 바꾸어 생각해 본다는 뜻으로, 상대방의 처지와 입장에서 생각해 봄을 이르는 말입니다. 3. 거안사위(居安思危) 살거(居). 편안안(安). 생각할사(思). 위태할위(危) 편안하게 있을 때도 위태로움을 생각한다는 뜻으로, 평안(平..

사자성어/교훈(敎訓) 관련 사자성어(四字成語)10가지(1)

사자성어/교훈(敎訓) 관련 사자성어(四字成語)10가지(1) 오늘은 마음에 새겨 두어야 할 내용으로 교훈(敎訓)에 관련된 사자성어 10가지 정리해 보았습니다. 일상에서도 현재 많이들 사용하고 있는 사자성어입니다. 하나씩 살펴 보겠습니다. 1. 금과옥조(金科玉條) 쇠금(金). 과정과(科). 구슬옥(玉). 곁가지조(條) 금옥(金玉)과 같은 법률(法律)이라는 뜻으로, 소중히 여기고 지켜야 할 규칙(規則)이나 교훈(敎訓)을 이르는 말입니다. 2. 정문일침(頂門一鍼) 정수리정(頂). 문문(門). 한일(一). 침침(鍼) 정수리에 침 하나를 꽂는다는 뜻으로, 상대방의 급소를 찌르는 따끔한 충고(忠告)나 교훈(敎訓)을 이르는 말입니다. 3. 사필귀정(事必歸正) 일사(事). 반드시필(必). 돌아갈귀(歸). 바를정(正) 일..

코로나 자가진단키트 사용법/셀트리온 디아트러스트 코로나19 항원 홈 테스트

코로나 자가진단키트 사용법/셀트리온 디아트러스트 코로나19 항원 홈 테스트 5일간의 설연휴를 보내고 오늘은 설 연휴의 마지막 날입니다. 내일이면 출근ㅠ. 그래도 내일이 월요일이 아닌 목요일이어서 조금은 위안이 됩니다. 설 연휴는 집콕만 하자고 마음먹은 터라 이동 없이 집에서만 지내긴 했지만 연휴가 길었기에 나도 모르는 사이에 혹시라도..하는 마음이 들기도 합니다. 코로나 신규확진자수가 계속적으로 늘고 있는 상황이다 보니 회사에서 설 연휴 마지막 날에 코로나 자가진단키트로 개별적으로 검사한 후 출근하라는 공지가 있었고, 자가진단키트도 회사에서 제공해주었어요. 주위에 보니 설연휴 끝나고 회사들마다 이렇게 자가진단 후 출근하도록 한 회사들이 제법 많네요. 오늘은 신규 확진자수가 2만명이 넘었다고 합니다. 설 ..

동해선 광역전철 부산 부전역에서 울산 태화강역까지 76분 이용후기

동해선 광역전철 부산 부전역에서 울산 태화강역까지 76분 이용후기 부산 부전역에서 일광까지만 운행하던 동해선 광역전철이 요즘은 울산 태화강역까지 2단계 연장 개통되어 운행되고 있습니다. 또, 향후에는 북울산역까지의 연장이 예정되어 있습니다. 오래전에 울산 태화강을 버스로 한번 다녀온적이 있었는데, 버스로는 시간 소요가 많이 되어 울산은 잘 안 가게 되더라고요. 동해선 광역전철이 울산 태화강까지 연장 개통되었다고 해서 며칠전에 일부러 동해선 광역전철을 이용해 울산 태화강엘 다녀왔습니다. 1. 동해선 광역전철 1) 개통일 : 2021. 12. 28. 2) 소요시간 : 부전-태화강 간 76분 3) 이용운임 : 1,300 ~ 2,500원 (어른 교통카드 기준) 부산의 부전역 모습입니다. 부전역은 부산역처럼 규모..

사자성어/음식(飮食)과 관련된 사자성어(四字成語)15가지

사자성어/음식(飮食)과 관련된 사자성어(四字成語)15가지 1. 산해진미(山海珍味) 뫼산(山). 바다해(海). 보배진(珍). 맛미(味) 산과 바다에서 나는 온갖 진귀한 재료들로 아주 잘 차린 맛이 좋은 음식을 이르는 말입니다. 2. 반생반숙(半生半熟) 반반(半). 날생(生). 반반(半). 익을숙(熟) 음식이 반쯤은 설고, 반쯤은 익은 상태를 뜻하는 말로, 아직 기술이 미숙한 상태를 이르는 말입니다. 3. 취금찬옥(炊金饌玉) 불땔취(炊). 쇠금(金). 반찬찬(饌). 구슬옥(玉) 금으로 밥을 짓고 옥으로 반찬을 만든다는 뜻으로, 아주 좋은 음식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입니다. 4. 온의미반(溫衣美飯) 따뜻할온(溫). 옷의(衣). 아름다울미(美). 밥반(飯) 따뜻한 옷과 맛 좋은 밥이라는 뜻으로, 따뜻한 의복을 ..

사자성어/가난(貧)과 관련된 사자성어(四字成語)15가지

사자성어/가난(貧)과 관련된 사자성어(四字成語)15가지 1. 가빈낙백(家貧落魄) 집가(家). 가난할빈(貧). 떨어질락(낙)(落). 넋백(魄) 집안이 가난하여 혼백이 땅에 떨어진다는 뜻으로, 집안이 가난하여 뜻을 얻지 못하고 실의에 빠짐을 이르는 말입니다. 2. 계옥지탄(桂玉之嘆) 계수나무계(桂). 구슬옥(玉). 갈지(之). 탄식할탄(嘆) 식량을 구하기가 계수나무 구하듯이 어렵고, 땔감을 구하기가 옥을 구하기 만큼이나 어려움을 뜻하는 말로, 몹시 가난함을 이르는 말입니다. 3. 단표누항(簞瓢陋巷) 대광주리단(簞). 박표(瓢). 좁을루(누)(陋). 거리항(巷) 누추한 거리에서 먹는 도시락과 표주박의 물이라는 뜻으로, 아주 가난한 사람의 생활형편을 이르는 말입니다. 4. 상루하습(上漏下濕) 위상(上). 샐루(..

사자성어/욕심(慾心)과 관련된 사자성어(四字成語)15가지

사자성어/욕심(慾心)과 관련된 사자성어(四字成語)15가지 1. 견물생심(見物生心) 볼견(見). 만물물(物). 날생(生). 마음심(心) 물건을 보면 그것을 가지고 싶은 욕심이 생긴다는 의미입니다. 2. 과유불급(過猶不及) 지날과(過). 오히려유(猶). 아닐불(不). 미칠급(及) 지나친 것은 미치지 못한 것과 같다는 뜻으로,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음이 중요함을 가리키는 말입니다. 3. 복과재생(福過災生) 복복(福). 지날과(過). 재앙재(災). 날생(生) 복이 너무 지나치면 도리어 재앙이 생긴다는 의미입니다. 4. 과분지망(過分之望) 지날과(過). 나눌분(分). 갈지(之). 바랄망(望) 분수에 지나치는 욕망을 이르는 말입니다. 5. 지치득거(舐痔得車) 핥을지(舐). 치질치(痔). 얻을득(得). 수레거(車..

속담/물(水)과 관련된 속담15가지/물에 빠져도 주머니밖에 뜰 것이 없다

속담/물(水)과 관련된 속담15가지/물에 빠져도 주머니밖에 뜰 것이 없다 오늘은 지난번 산(山)과 관련된 속담 포스팅에 이어서 물(水)과 관련된 속담으로 15가지 정리해 보았습니다. 사람은 물없이는 살 수가 없으므로 물과 관련된 속담들도 제법 많습니다. 하나씩 살펴보겠습니다. 1. 물이 깊을수록 소리가 없다 덕이 높고 생각이 깊은 사람일수록 겸손하며, 떠벌리면서 잘난척하거나 뽐내지 않는다는 의미입니다. 2. 물에 빠져도 주머니밖에 뜰 것이 없다 주머니에 든것이 없어 가벼워서 물에 빠져도 주머니만 뜬다는 뜻으로, 돈이 하나도 없는 무일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입니다. 3. 물도 씻어 먹을 사람 물조차도 씻어 먹을 사람이라 하니 마음과 행동이 아주 깨끗한 사람을 이르는 말입니다. 4. 미꾸라지 한 마리가 온..

속담/산(山)과 관련된 속담15가지/앉아서 먹으면 태산도 못 당한다

속담/산(山)과 관련된 속담15가지/앉아서 먹으면 태산도 못 당한다 산은 계절마다 다른 매력으로 등산객들의 눈길을 사로 잡습니다. 때로는 형형색색 꽃들이 만발한 화원으로, 때로는 빨갛고 노란 단풍들의 향연으로, 요즘과 같은 겨울의 설산(雪山)은 나뭇가지와 어우러진 반짝이는 눈꽃들이 멋진 풍경화를 연출해 냅니다. 계절마다 다른 색깔로 산이 주는 아름다움과 경이로움에 빠져들게 됩니다. 오늘은 산과 관련된 속담으로 15가지 정리해 보았습니다. 1. 가면 갈수록 첩첩산중이다 일이 순탄하지 못하고 갈수록 더 힘들어지고 어렵게 꼬이는 경우를 이르는 말입니다. 2. 금강산 구경도 먹은 후에야 한다 (금강산도 식후경) 아무리 좋고 재미있는 일이라도 배가 고프면 하기 힘들고 재미도 없으며, 배가 부르고 나서야 재미도 나..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