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883

사자성어/욕심(慾心)과 관련된 사자성어(四字成語)15가지

사자성어/욕심(慾心)과 관련된 사자성어(四字成語)15가지 1. 견물생심(見物生心) 볼견(見). 만물물(物). 날생(生). 마음심(心) 물건을 보면 그것을 가지고 싶은 욕심이 생긴다는 의미입니다. 2. 과유불급(過猶不及) 지날과(過). 오히려유(猶). 아닐불(不). 미칠급(及) 지나친 것은 미치지 못한 것과 같다는 뜻으로,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음이 중요함을 가리키는 말입니다. 3. 복과재생(福過災生) 복복(福). 지날과(過). 재앙재(災). 날생(生) 복이 너무 지나치면 도리어 재앙이 생긴다는 의미입니다. 4. 과분지망(過分之望) 지날과(過). 나눌분(分). 갈지(之). 바랄망(望) 분수에 지나치는 욕망을 이르는 말입니다. 5. 지치득거(舐痔得車) 핥을지(舐). 치질치(痔). 얻을득(得). 수레거(車..

속담/물(水)과 관련된 속담15가지/물에 빠져도 주머니밖에 뜰 것이 없다

속담/물(水)과 관련된 속담15가지/물에 빠져도 주머니밖에 뜰 것이 없다 오늘은 지난번 산(山)과 관련된 속담 포스팅에 이어서 물(水)과 관련된 속담으로 15가지 정리해 보았습니다. 사람은 물없이는 살 수가 없으므로 물과 관련된 속담들도 제법 많습니다. 하나씩 살펴보겠습니다. 1. 물이 깊을수록 소리가 없다 덕이 높고 생각이 깊은 사람일수록 겸손하며, 떠벌리면서 잘난척하거나 뽐내지 않는다는 의미입니다. 2. 물에 빠져도 주머니밖에 뜰 것이 없다 주머니에 든것이 없어 가벼워서 물에 빠져도 주머니만 뜬다는 뜻으로, 돈이 하나도 없는 무일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입니다. 3. 물도 씻어 먹을 사람 물조차도 씻어 먹을 사람이라 하니 마음과 행동이 아주 깨끗한 사람을 이르는 말입니다. 4. 미꾸라지 한 마리가 온..

속담/산(山)과 관련된 속담15가지/앉아서 먹으면 태산도 못 당한다

속담/산(山)과 관련된 속담15가지/앉아서 먹으면 태산도 못 당한다 산은 계절마다 다른 매력으로 등산객들의 눈길을 사로 잡습니다. 때로는 형형색색 꽃들이 만발한 화원으로, 때로는 빨갛고 노란 단풍들의 향연으로, 요즘과 같은 겨울의 설산(雪山)은 나뭇가지와 어우러진 반짝이는 눈꽃들이 멋진 풍경화를 연출해 냅니다. 계절마다 다른 색깔로 산이 주는 아름다움과 경이로움에 빠져들게 됩니다. 오늘은 산과 관련된 속담으로 15가지 정리해 보았습니다. 1. 가면 갈수록 첩첩산중이다 일이 순탄하지 못하고 갈수록 더 힘들어지고 어렵게 꼬이는 경우를 이르는 말입니다. 2. 금강산 구경도 먹은 후에야 한다 (금강산도 식후경) 아무리 좋고 재미있는 일이라도 배가 고프면 하기 힘들고 재미도 없으며, 배가 부르고 나서야 재미도 나..

사자성어/공부(工夫)와 관련된 사자성어(四字成語)15가지

사자성어/공부(工夫)와 관련된 사자성어(四字成語)15가지 1. 주경야독(晝耕夜讀) 낮주(晝). 밭갈경(耕). 밤야(夜). 읽을독(讀) 낮에는 밭을 갈고 밤에는 책을 읽는다는 뜻으로,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틈틈이 공부함을 이르는 말입니다. 2. 형설지공(螢雪之功) 반딧불이형(螢). 눈설(雪). 갈지(之). 공공(功) 반딧불과 눈빛으로 공부하며 이룬 공이라는 뜻으로, 고생 속에서도 어려움을 이겨내고 공부함을 이르는 말입니다. 3. 폐침망식(廢寢忘食) 폐할폐(廢). 잘침(寢). 잊을망(忘). 밥식(食) 잠을 안자고, 밥먹는 것도 잊는다는 뜻으로, 침식을 잊고 열심히 공부함을 이르는 말입니다. 4. 손강영설(孫康映雪) 손자손(孫). 편안할강(康). 비칠영(映). 눈설(雪) 손강이 눈빛에 책을 비추어 읽었다는 뜻..

사자성어/돈(錢)과 관련된 사자성어(四字成語)15가지

사자성어/돈(錢)과 관련된 사자성어(四字成語)15가지 1. 금은보화(金銀寶貨) 쇠금(金). 은은(銀). 보배보(寶). 재화화(貨) 금과 은과 보배롭고 귀중한 물건을 이르는 말입니다. 2. 견금여석(見金如石) 볼견(見). 쇠금(金). 같을여(如). 돌석(石) 황금보기를 돌같이 한다는 뜻으로, 지나친 욕심의 절제를 이르는 말입니다. 3. 용전여수(用錢如水) 쓸용(用). 돈전(錢). 같을여(如). 물수(水) 돈쓰기를 물처럼 한다는 뜻으로, 거침없이 흐르는 물을 펑펑 쓰는 모양에 비유해서 돈을 절제 없이 사치스럽게 마구 쓰는 것을 이르는 말입니다. 비슷한 말로는 사전여수(使錢如水 : 돈을 물처럼 사용한다)가 있습니다. 4. 누거만금(累巨萬金) 여러누(累). 클거(巨). 일만만(萬).쇠금(金) 굉장히 많은 돈을 ..

사자성어/부(富)와 관련된 사자성어(四字成語)10가지(2)

사자성어/부(富)와 관련된 사자성어(四字成語)10가지(2) 세상에는 부(富)를 꿈꾸는 사람들이 참 많습니다. 특히나, 요즘은 시기적으로 경제가 아주 많이 어렵다보니 직장인들도 투잡도 부족해서 쓰리잡, 포잡까지 저마다의 방식으로 본업 이외의 수익들을 창출하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개인마다 생각하는 부(富)와 빈(貧)의 기준은 다를 것이며 또, 부(富)가 가져다주는 삶의 편안함, 미래의 든든함은 있지만, 과유불급(過猶不及)이라 하니 지나치게 부(富)를 쫓음으로 인해 건강을 잃거나 낭패를 겪는 일은 없어야겠습니다. 오늘도 지난번에 이어서 부(富)와 관련된 사자성어로 10가지 정리해 보았습니다. 1. 부귀영화(富貴榮華) 부유할부(富). 귀할귀(貴). 영화영(榮). 빛날화(華) 부유하고 지위가 높으며 몸이 귀하게..

사자성어/부(富)와 관련된 사자성어(四字成語)10가지(1)

사자성어/부(富)와 관련된 사자성어(四字成語)10가지(1) 부(富)의 사전적 의미는 1)넉넉한 생활 또는 넉넉한 재산 2)특정한 경제 주체가 가지고 있는 재산의 전체를 뜻합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부(富)를 축적하고 싶어 하며, 그로 인해 편안하고 넉넉한 삶을 살고 싶어 합니다. 오늘은 많은 이들이 추구하는 이 부(富)와 관련된 사자성어로 10가지 정리해 보았습니다. 1. 부귀공명(富貴功名) 부유할부(富). 귀할귀(貴). 공공(功). 이름명(名) 재물이 많고 지위가 높으며 공을 세워서 이름을 널리 알리는 걸 뜻하는 말입니다. 2. 자부자강(自富自强) 스스로자(自). 부유할부(富). 스스로자(自). 굳셀강(强) 제 스스로 부강하게 만드는 것을 의미합니다. 3. 망국부고(亡國富庫) 망할망(亡). 나라국(國)..

사자성어/쥐(鼠)와 관련된 사자성어(四字成語)10가지

사자성어/쥐(鼠)와 관련된 사자성어(四字成語)10가지 12지중에서 첫번째에 해당하는 쥐(鼠)는 민첩하고 눈치도 빠르며 영리한 동물입니다. 민간 설화에 따르면 쥐는 옥황상제의 동물들 호출에 소의 등에 몰래 올라타고 와서 천상의 문에 도착할 즈음 뛰어내려 쪼르르 가장 먼저 1등으로 도착하게 되지요. 다산과 풍요를 상징하기도 하는 동물, 오늘의 이 약삭빠르고 영리한 쥐(鼠)와 관련된 사자성어로 10가지 정리해 보았습니다. 1. 궁서설묘(窮鼠齧猫) 다할궁(窮). 쥐서(鼠). 물설(齧). 고양이묘(猫) 쥐도 궁지에 몰리면 고양이를 물어뜯는다는 뜻으로, 약자도 사지에 내몰리면 강자에게 필사적으로 대항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입니다. 2. 묘서동처(猫鼠同處) 고양이묘(猫). 쥐서(鼠). 한가지동(同). 곳처(處) 고..

속담과 관용구/ 우리말 속담과 관용표현(2)

속담과 관용구/ 우리말 속담과 관용표현(2) 오늘도 우리말 속담과 관용표현에 대해 20가지 정리해 보았습니다. 1. 높은 가지가 부러지기 쉽다 높은 지위로 오를수록 그 자리를 지키기가 어렵다는 의미입니다. 2. 말 많은 집은 장맛도 쓰다 말이 많은 집안은 살림이 잘 되지 않음을 비유해 이르는 말입니다. 3. 물동이 이고 하늘 보기 물동이를 이고 하늘을 보면 동이에 가려서 하늘이 잘 보이지 않으므로, 하는 행동이 어리석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입니다. 4. 나중 난 뿔이 우뚝하다. 나이 어린 사람이 나이 많은 사람보다 더 훌륭하거나, 후배가 선배보다 더 나을때 쓰는 말입니다. 5. 소나무가 무성하면 잣나무도 기뻐한다. 가까운 친구나 자기편이 잘되면 함께 기뻐함을 이르는 말입니다. 6. 머리에 부은 물이 발..

속담과 관용구/ 우리말 속담과 관용표현(1)

속담과 관용구/ 우리말 속담과 관용표현(1) 오늘은 우리말 속담과 관용표현에 대해 20가지 정리해 보았습니다. 평소 자주 써왔던 표현도 있지만, 생소한 내용들도 있습니다. 1. 감투가 크면 어깨를 누른다 능력은 안되는데 과분한 지위에서 일을 하게 되면 감당하기 힘들다는 의미입니다. 2. 개가 잘 짖는다고 꼭 좋은 개는 아니다 사람이 말을 잘한다고 해서 현명한 사람은 아니라는 의미입니다. 3. 기린은 잠자고 스라소니는 춤춘다 뛰어난 사람은 조용한데 능력 없는 사람이 날뛰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입니다. 4. 호랑이도 새끼가 열이면 스라소니를 낳는다 자식이 많으면 그중에 못난 자식도 있다는 의미입니다. 5. 망건 쓰다 장 파한다 어떤 일을 하는데 있어 준비가 너무 길어서 그만 때를 놓친다는 의미입니다. ..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