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883

비표준어가 더 표준어 같은 헷갈리는 외래어/알콜 레몬에이드

비표준어가 더 표준어 같은 헷갈리는 외래어/알콜 레몬에이드 우리 일상에서 대화하면서 굳어진 비표준어들~ 표준어 같은 비표준어들이 의외로 많이 있습니다. 오늘은, 표준어가 더 어색한 헷갈리는 비표준어 외래어 몇 가지 정리해 보았습니다. 1. 샷시 vs 새시 철, 스테인리스강, 알루미늄 따위를 재료로 하여 만든 창의 틀을 가리키는 말로, '새시'가 올바른 표현이고 '샷시'는 비표준어입니다. 일상에서 '새시'로 사용하는 경우가 거의 드문 거 같은데요, 표준어가 '새시'이니 바르게 사용해야겠습니다. 많이 어색하긴 하네요. 2. 초코렛 vs 초콜릿 외래어 표기중 많이 헷갈리는 단어가 아닌가 싶습니다. '초코렛'은 비표준어이고 '초콜릿'이 올바른 말입니다. '쵸코렛' 또한 비표준어입니다. 3. 늬앙스 vs 뉘앙스 ..

부산의 재래시장 부평깡통시장 투어/국제시장

부산의 재래시장 부평깡통시장 투어/국제시장 부산에는 재래시장이 많이 있습니다. 관광명소로 재래시장 투어도 많이들 하십니다. 특히나 부평깡통시장과 국제시장은 많이 알려져 있어서 기념품 구매하는 외국인들도 많이 보입니다. 코로나로 침체되었던 시장 분위기도 이제 해외여행이 재개되면서 예전처럼 다시 활기를 띄겠지요. 1. 국제시장 위치 : 부산시 중구 부평1길 48 2. 국제시장 교통편 : 부산지하철 1호선 자갈치역 하차 7번 출구 3. 국제시장 방문일시 : 2022년 6월 11일 토요일 부산지하철 1호선 자갈치역 도착했어요. 7번 출구로 나가면 됩니다. 자갈치역 인근에는 전통시장인 자갈치시장이 있습니다. 각종 해산물과 회가 있으며, 부산의 관광명소입니다. 자갈치역에서 직진 후 바로 보이는 KT대리점에서 좌회전..

서면빵집추천/건강한빵 전포카페거리 바게트제작소

서면빵집추천/건강한빵 전포카페거리 바게트제작소 빵 좋아하시는 분들 참 많으시죠? 맛있는 빵과 커피한잔. 생각만으로도 기분 좋아지는 즐거움입니다. 부산 서면 전포카페거리 바게트제작소(BAGUETTE FACTORY) 의 빵 맛보셨나요? 바게트제작소 위치 : 부산시 부산진구 전포대로 199번길 19 OPEN AM10시 ~ PM10시 천연 누룩 발효종을 이용한 전통 프랑스빵. 100% 프랑스 밀가루, 버터만을 사용하여 건강한 빵만을 고집합니다. AM10시부터 한 시간 간격으로 빵 나오는 시간 참고해서 따끈하게 갓 구워낸 빵맛 한번 보세요. [기능장의 집] 믿고 먹을 수 있겠다는 생각 들지요? 자, 빵 퍼레이드~ 한번 감상해 보시죠. 식빵 종류도 참 많습니다. 단호박식빵, 야채식빵, 아보카도크림치즈식빵, 프리미엄..

부산 송도해수욕장 개장/송도해상케이블카 이용요금/송도해안볼레길 트레킹

부산 송도해수욕장 개장/송도해상케이블카 이용요금/송도해안볼레길 트레킹 ◆ 부산 송도해수욕장은 1. 1913년에 개장된 우리나라 최초의 공설 해수욕장입니다. 2. 매년 8월에는 현인가요제를 비롯한 송도바다축제, 10월에는 부산 고등어축제가 개최되고 있습니다. 3. 송도해수욕장 가는 길 부산지하철 1호선 자갈치역 하차 후 2번 출구로 나갑니다. 정면 12시 방향으로 보이는 에코팰리스II 건물 앞에서 버스 타면 되고요, 버스편은 96, 26, 71, 30번이 있습니다. 송도해수욕장 정류장에서 하차하면 됩니다. 자갈치역 2번 출구로 나가면 정면으로 큰 건물 에코팰리스II 가 바로 보입니다. 길 건너갈 거예요. 저는 96번 버스 탔습니다. 자갈치역에서 송도해수욕장까지는 버스로 약 15분 정도 걸려요. 버스정류장에..

비씨카드 SAFE BC 서비스 / 해외이용거래 제한 서비스 신청,해제

비씨카드 SAFE BC 서비스 / 해외이용거래 제한 서비스 신청,해제 코로나의 장기화로 오랜 기간 동안 해외여행을 갈 수가 없었습니다. 요즘 다시 해외여행이 재개가 되면서 앞으로 주말이면 공항도 점점 더 붐비겠지요? 해외여행 갈 때 결제의 편리함 때문에 마스터카드나 비자카드 등 해외겸용카드들 많이 사용합니다. 그리고, 당분간 해외여행 계획이 있는 게 아니라면, 신용카드 해외이용거래 제한 서비스도 많이 신청해 놓습니다. 해외이용거래 제한 서비스란? 신용카드번호 도용 피해 방지 및 안전한 해외 카드 이용을 위한 서비스로 고객센터나 홈페이지 및 모바일 채널에서 서비스 신청을 할 수가 있습니다. 오늘 저는 보유 중인 신용카드 중에 비씨카드 해외이용거래 제한 서비스를 모바일에서 직접 신청해 보았습니다. 해외이용거..

부산 서면 돼지국밥골목 아시나요? 든든한 한 끼 포항돼지국밥

부산 서면 돼지국밥골목 아시나요? 든든한 한 끼 포항돼지국밥 부산의 향토 음식인 돼지국밥의 유래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그중 전쟁 중에 피난길을 전전하던 이들이 쉽게 구할 수 있는 돼지의 부속물로 끓인 데서 유래했다는 설이 가장 유력합니다. 돼지국밥은 밀양, 부산, 대구지역에서도 각각의 방식으로 발전해 오다가 대중적으로 인지도를 얻게 된 곳이 부산이어서, 지금은 돼지국밥이 부산의 향토 음식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부산에 오면 한 번쯤은 먹고 가는 [돼지국밥]. [돼지국밥] 유명한 음식점이 많이 있지만, 오늘은 서면의 돼지국밥 골목에서 포장을 해 보았습니다. 부산 서면의 돼지국밥골목은 부산 지하철 1호선, 2호선의 교차역인 [서면] 역에서 하차하면 됩니다. 7번 출구로 나가서 50m쯤 가면 커피전문점 [스타..

부산 문현동 국제금융센터(BIFC) 맛있는 중국집 성해루

부산 문현동 국제금융센터(BIFC) 맛있는 중국집 성해루 오늘 제 8회 지방선거일날 투표를 마치고 점심을 먹으러 중국집으로 향했습니다. 짜장, 짬뽕은 선택에서 제게 늘 갈등을 불러일으키지만, 오늘도 역시 저의 선택은 짜장입니다. 1. 방문일시 : 2022년 6월 1일 2. 위치 : 부산시 남구 문현금융로 16. 중국집 성해루 3. 부산지하철 2호선 국제금융센터.부산은행역 하차 1번 출구로 나가면 됩니다. 4. TMI : 현재 우리나라에서 가장 긴 지하철역 이름이 바로 이곳 국제금융센터.부산은행역입니다. 길긴 길지요. 중국집 성해루 도착했어요. 또 TMI : 부산 문현 국제금융센터는 63층 건물로, 부근에는 한국은행 부산본부를 비롯해서 부산은행 본점, 국민은행, 신한은행 등 금융기관들과 굵직굵직한 공기업들..

올바른 표기/한 끗 차이로 표준어 비표준어/쭈꾸미vs주꾸미/꼼장어vs곰장어

올바른 표기/한 끗 차이로 표준어 비표준어/쭈꾸미vs주꾸미/꼼장어vs곰장어 일상 대화에서 사용하는 말 중에 비슷해서 잘못 사용하고 있는 표현들이 많이 있습니다. 대화체로 너무 굳어져 버려서 올바른 표기가 더 어색할 수도 있는, 정말 한 끗 차이로 달라지는 말들을 오늘 몇 가지 정리해 보았습니다. 1. 쇠털같이 많은 날 vs 새털같이 많은 날 많은 날을 비유할 때 쓰는 말로 쇠털같이 vs 새털같이 뭐가 맞을까요. 흔히들 '새털같이 많은 날' 로 잘못 알고 표현하고 있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쇠털같이 많은 날' 이 올바른 표기입니다. '쇠털같이' 는 '소의 털같이 많음' 을 비유할 때 쓰는 말이고, '새털같이' 는 가벼움을 비유해 표현할 때 쓰는 말입니다. 2. 야반도주 vs 야밤도주 남의 눈을 피해서 ..

어색하지만 올바른 표기법/지르밟다 야트막하다

어색하지만 올바른 표기법/지르밟다 야트막하다 대화를 하거나 카톡을 할때, 간혹 이렇게 쓴게 맞게 쓴건가.. 하고 긴가민가 한 경우가 있습니다. 단어를 정말로 틀리게 써서 어색하게 느껴지는 경우도 있지만, 바르게 썼는데도 왠지 어색한 느낌이 드는 단어들도 종종 있습니다. '지르밟다' ' 야트막하다' 도 쓰고보니 무언가 어색한 것이 단어를 틀리게 쓴 것 같은 착각이 들지만 올바른 표기입니다. 이처럼 괜한 착각으로 헷갈릴 수 있는 몇 가지 단어들을 오늘 정리해 보았습니다. 1. 남사스럽다 남세스럽다 남우세스럽다 ○ 뜻 : 남에게 놀림과 비웃음을 받을 듯하다. 일상에서는 '남사스럽다' 로 흔히 많이 사용하고 있는 단어입니다. 과거에는 '남사스럽다' 가 비표준어였으나 널리 쓰이게 되면서 표준어로 인정받게 되었습니..

어려운 우리말/부서트리다/부서뜨리다/부숴뜨리다/부셔뜨리다

어려운 우리말/부서트리다/부서뜨리다/부숴뜨리다/부셔뜨리다 학창 시절에는 우리말 표기가 정말 자신 있었고, 쉬웠다고 생각했습니다. 반면에 띄어쓰기는 아무리 잘하려고 해도 틀리게 되는.. 국어를 공부하면서 가장 극복이 안 되는 분야(?)가 띄어쓰기라고 생각할 만큼 제일 어려웠습니다. 어른이 된 지금도 띄어쓰기는 맞는 경우보다 틀리는 경우가 더 많아서 역시나 많이 어렵습니다. 그런데, 우리말을 올바르게 표기하고 잘한다고 자신 있게 말할 수 있었는데, 요즘 들어서 하나둘씩 헷갈리기 시작하는 현상이 나타나기 시작합니다. 채팅 용어에 너무 익숙해져 있고, 우리말을 너무 등한시하고 있었던 게 아닌가 해서 학생 때로 돌아가 우리말 공부를 짬짬이 해야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오늘은 틀리기 쉽고 헷갈리는 우리말에 대해서 몇..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