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897

좋은시/사람의 됨됨이 by박경리/마스크와 교통카드

사람의 됨됨이 가난하다고 다 인색한 것은 아니다. 부자라고 모두 후한 것도 아니다. 그것은 사람의 됨됨이에 따라 다르다. 후함으로 하여 삶이 풍성해지고 인색함으로 하여 삶이 궁색해 보이기도 하는데 생명들은 어쨌거나 서로 나누며 소통하게 돼 있다. 그렇게 아니하는 존재는 길가에 굴러다니는 한낱 돌멩이와 다를 바 없다. 나는 인색함으로 하여 메마르고 보잘것없는 인생을 더러 보아 왔다. 심성이 후하여 넉넉하고 생기에 찬 인생도 더러 보아 왔다. 인색함은 검약이 아니다. 후함은 낭비가 아니다. 인색한 사람은 자기 자신을 위해 낭비하지만 후한 사람은 자기 자신에게는 준열하게 검약한다. 사람 됨됨이에 따라 사는 세상도 달라진다. 후한 사람은 늘 성취감을 맛보지만 인색한 사람은 먹어도 늘 배가 고프다 천국과 지옥의 ..

좋은글/좋은시 2022.02.26

사자성어/웃음(笑)과 관련된 사자성어(四字成語) 15가지

사자성어/웃음(笑)과 관련된 사자성어(四字成語) 15가지 웃음에도 종류가 참 많습니다. 소리 내지 않고 빙긋이 웃는 미소(微笑), 쌀쌀한 태도로 업신여겨 웃는 냉소(冷笑), 여럿이 폭발하는 갑자기 웃는 폭소(爆笑) 등 다양합니다. 웃으면 복이 들어온다고 하고, 웃으면 건강에도 좋다고 하니 자주 많이 웃어야겠습니다. 오늘은, 보는 사람까지도 즐겁게 만드는 이 웃음과 관련된 사자성어로 15가지 정리해 보았습니다. 1. 가가대소(訶訶大笑) 꾸짖을가(訶). 꾸짖을가(訶). 큰대(大). 웃을소(笑) 소리를 내어 크게 웃음. 2. 앙천대소(仰天大笑) 우러를앙(仰). 하늘천(天). 큰대(大). 웃을소(笑) 하늘을 쳐다보고 크게 웃음 3. 반분폭소(飯噴爆笑) 밥반(飯). 뿜을분(噴). 터질폭(爆). 웃을소(笑) 입속에..

[부산 서면] 부산시민공원/주말에는 아이들과 도심속의 쉼터로 나들이 최고예요

[부산 서면] 부산시민공원/주말에는 아이들과 도심 속의 쉼터로 나들이 최고예요 봄인가 착각할 정도로 날씨가 아주 포근했던 일요일(2월 13일)이었습니다. 산엘 갈까 하다가 오랜만에 공원으로 발걸음 해 봅니다. 도심 속에 이처럼 탁 트인 공간이 또 있을까요? 부산시민들의 사랑을 듬뿍 받고 있는 부산시민공원은 몸도 마음도 휴식하기 딱 좋은 곳입니다. 아파트 생활에서 맘껏 뛰지 못하는 아이들에게는 더할 나위 없이 뛰놀기 좋은 곳이지요. 부산시민공원은 기억(Memory), 문화(Culture), 즐거움(Pleasure), 자연(Nature), 참여(Participation) 5개 활동주제로 조성되어 있습니다. 연중무휴로 이용할 수 있으며, 공원 조성 면적은 473,911㎡로, 이중 하야리아 잔디광장 면적은 약 ..

사자성어/건강(健康)와 관련된 사자성어(四字成語)15가지

사자성어/건강(健康)와 관련된 사자성어(四字成語)15가지 요즘의 코로나 시국에 특히나 많이 하는 인사가 건강 잘 챙기라는 인사이지요. 개인 위생과 청결은 물론이고 면역을 길러서 스스로의 건강을 잘 챙겨야 하는 중요한 시기가 아닌가 싶습니다. 항상 건강합시다. 건강을 잃으면 모든 걸 잃는 것과 같다는 말이 있지요. 오늘은 건강과 관련된 사자성어로 15가지 정리해 보았습니다. 1. 동병하치(冬病夏治) 겨울동(冬). 병들병(病). 여름하(夏). 다스릴치(治) 겨울병은 여름에 다스린다(치료한다)는 의미입니다. 2. 두한족열(頭寒足熱) 머리두(頭). 찰한(寒). 발족(足). 더울열(熱) 머리는 차게 하고, 발은 따뜻하게 하는 게 건강에 좋음을 이르는 말입니다. 3. 무병장수(無病長壽) 없을무(無). 병들병(病)...

명언/친구(親舊) 관련 명언(名言) 20가지

명언/친구(親舊) 관련 명언(名言) 20가지 인생(人生)을 살아가면서 참 소중한 것이 많이 있습니다. 가족(家族)도 소중하고, 연인(戀人)도 소중하고, 그에 못지않게 친구(親舊) 또한 정말 소중한 존재입니다. 아리스토텔레스의 명언(名言)처럼 진정한 친구(親舊)는 제2의 자신(自身)입니다. 기쁠 때 함께 기쁨을 나누고 싶고, 슬플 때도 함께 슬픔을 나눌 수 있는 든든한 친구(親舊)들이 있어서 살아가는게 덜 외롭고, 많은 의지(依支)가 되고, 삶이 더 행복(幸福)합니다. 오늘은 이 친구(親舊)와 관련된 명언(名言)으로 20가지 정리해 보았습니다. 공감이 되면서 마음에 새겨둘 만한 명언(名言)들이 많이 있습니다. 같이 한번 살펴보겠습니다. 1. 친구란 무엇인가? 두 개의 몸에 깃든 하나의 영혼이다. 2. 풍요..

명언/돈(錢)과 관련된 명언(名言) 20가지

명언/돈(錢)과 관련된 명언(名言) 20가지 '돈(money)' 을 싫어하는 사람이 있을까요? 남녀노소 누구나 다 좋아한다고 해도 과언은 아닐 것입니다. 돈이 원인이 되어 화를 불러일으키는 경우도 많지만, 돈으로 인해서 삶의 만족도가 매우 높아지는 것 또한 사실입니다. 그래서 많은 이들이 물질적으로 풍요로운 부자의 삶을 위해 오늘도 열심히 일하고 또, 돈 버는 법을 연구합니다. 너무 많아도 화가 될 수 있고 너무 적어도 불편한 이 돈과 관련된 명언들로 오늘 20가지 정리해 보았습니다. 1. 돈을 빌려준 사람은 돈을 빌린 사람보다 잘 기억한다. 2. 돈의 가치를 알고자 하거든 가서 돈을 조금 빌려보라. 돈을 빌리러 가는 것은 슬픔을 빌리러 가는 것이다. 3. 가난은 부끄러울 일이 아니지만, 가난을 수치스럽..

사자성어/은혜(恩惠 ) 관련 사자성어(四字成語)10가지

사자성어/은혜(恩惠 ) 관련 사자성어(四字成語)10가지 은혜(恩惠)의 사전적 의미가 '고맙게 베풀어 주는 신세(身世)나 혜택(惠澤)'을 뜻합니다. 살다보면 은혜를 입기도 하고, 베풀기도 합니다. 베풀어준 은혜보다는 받은 은혜가 오래도록 마음에 남아서 그 고마움이 잊혀지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오늘은 여러가지 은혜(恩惠)와 관련된 사자성어로 10가지 정리해 보았습니다. 1. 결초보은(結草報恩) 맺을결(結). 풀초(草). 갚을보(報). 은혜은(恩) 풀을 묶어서 은혜(恩惠)를 갚는다는 뜻으로, 죽어서 혼(魂)이 되더라도 입은 은혜(恩惠)는 잊지 않고 갚는다는 의미입니다. 2. 각골난망(刻骨難忘) 새길각(刻). 뼈골(骨). 어려울난(難). 잊을망(忘) 입은 은혜(恩惠)에 대한 고마움이 뼈에까지 새겨져 잊혀지지..

외래어표기법/외래어 표기의 기본원칙/많이 틀리는 외래어 앙케트 파이팅 프라이드치킨

외래어표기법/외래어 표기의 기본원칙/많이 틀리는 외래어 앙케트 파이팅 프라이드치킨 우리는 일상에서 대화할때 외래어(外來語)를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외래어(外來語)란, 외국으로부터 들어와 한국어처럼 사용하고 있는 단어를 말합니다. 우리가 현재 자주 사용하고 있는 외래어는 1986년 제정. 고시된 외래어표기법(外來語表記法)을 따르고 있으며, 외래어 표기의 그 기본원칙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외래어 표기의 기본원칙 가. 외래어(外來語)는 국어의 현용 24자모만으로 적습니다. 현용 24자모란 자음 14자와 모음 10자를 말합니다. 외래어는 따로 문자를 만들어 쓰지 않으며, 국어의 현용 24자모만으로 적습니다. 나. 외래어(外來語)의 1음운은 원칙적으로 1기호로 적습니다. 예를 들면, (f)의 경우 'ㅎ' ..

사자성어/교훈(敎訓) 관련 사자성어(四字成語)10가지(2)

사자성어/교훈(敎訓) 관련 사자성어(四字成語)10가지(2) 오늘은 교훈(敎訓) 관련 사자성어 10가지를 두 번째로 정리해 보았어요. 하나씩 살펴보겠습니다. 1. 자업자득(自業自得) 스스로자(自). 업업(業). 스스로자(自). 얻을득(得) 불교(佛敎)에서 제 스스로 저지른 일의 과보(果報)를 제스스로 받음을 뜻하는 말로, 자기가 저지른 일은 결과에 대해서 스스로가 져야 함을 이르는 말입니다. 2. 역지사지(易地思之) 바꿀역(易). 땅지(地). 생각할사(思). 갈지(之) 처지(處地)를 바꾸어 생각해 본다는 뜻으로, 상대방의 처지와 입장에서 생각해 봄을 이르는 말입니다. 3. 거안사위(居安思危) 살거(居). 편안안(安). 생각할사(思). 위태할위(危) 편안하게 있을 때도 위태로움을 생각한다는 뜻으로, 평안(平..

사자성어/교훈(敎訓) 관련 사자성어(四字成語)10가지(1)

사자성어/교훈(敎訓) 관련 사자성어(四字成語)10가지(1) 오늘은 마음에 새겨 두어야 할 내용으로 교훈(敎訓)에 관련된 사자성어 10가지 정리해 보았습니다. 일상에서도 현재 많이들 사용하고 있는 사자성어입니다. 하나씩 살펴 보겠습니다. 1. 금과옥조(金科玉條) 쇠금(金). 과정과(科). 구슬옥(玉). 곁가지조(條) 금옥(金玉)과 같은 법률(法律)이라는 뜻으로, 소중히 여기고 지켜야 할 규칙(規則)이나 교훈(敎訓)을 이르는 말입니다. 2. 정문일침(頂門一鍼) 정수리정(頂). 문문(門). 한일(一). 침침(鍼) 정수리에 침 하나를 꽂는다는 뜻으로, 상대방의 급소를 찌르는 따끔한 충고(忠告)나 교훈(敎訓)을 이르는 말입니다. 3. 사필귀정(事必歸正) 일사(事). 반드시필(必). 돌아갈귀(歸). 바를정(正) 일..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