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합시다 103

사자성어/동물(動物)과 관련된 사자성어(四字成語) 10가지(3)

사자성어/동물(動物)과 관련된 사자성어(四字成語) 10가지(3) 천고마비의 계절도 이제 끝자락으로 향하고 있고, 이번주가 지나면 11월로 접어듭니다. 10월에서 11월로는 시원함에서 차가움으로의 계절변화를 느끼게 됩니다. 높은 하늘과 낙엽과 단풍, 가을의 정취를 계절의 마지막까지 한껏 느끼시고 체감하시길 바랍니다. 오늘도 동물과 관련된 사자성어 10가지 정리해 보았습니다. 들어는 봐서 단어는 익숙한데 뜻이 긴가민가 기억이 흐릿한 사자성어들도 있습니다. 하나씩 살펴보겠습니다. 호시탐탐(虎視眈眈) 뜻 : 호랑이가 먹이를 노린다. 남의 것을 빼앗기 위해서 형세를 살피며 가만히 기회를 엿보는 모양을 말합니다. 양호유환(養虎遺患) 뜻 : 호랑이를 길러서 화근을 남긴다. 처음에는 위협이 되지 않았는데 길러서 후환을..

사자성어/동물(動物)과 관련된 사자성어(四字成語) 10가지(2)

사자성어/동물(動物)과 관련된 사자성어(四字成語) 10가지(2) 예로부터 내려오는 교훈이나 유래를 담고 있는 고사성어들이 참 많이 있습니다. 특히 4자로 된 사자성어들은 짧은 글로써 큰 의미를 전달할 수 있어 일상생활의 대화에서도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오늘은 동물과 관련된 사자성어 10가지를 두번째로 정리해 보았습니다. 연목구어(緣木求魚) 뜻 : 나무에 올라가서 물고기를 구한다. 물에 가야 물고기를 구할수 있는데, 나무에 올라가 물고기를 구한다 하니 도저히 불가능한 일을 굳이 하려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입니다. 형설지공(螢雪之功) 뜻 : 반딧불과 눈으로 이룬 공. 고생스런 가난을 이겨내며 반딧불과 눈(雪)빛으로 글을 읽어가며 고생 속에서 공부하여 이룬 공을 뜻하는 말입니다. 토사구팽(兎死狗烹) 뜻..

사자성어/동물(動物)과 관련된 사자성어(四字成語) 10가지(1)

사자성어/동물(動物)과 관련된 사자성어(四字成語) 10가지(1) 사람은 오래전부터 동물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살고 있습니다. 그리고 대화하면서 동물과 관련된 사자성어나 속담들도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일상 대화에서 많이 사용할 수 있는 동물과 관련된 사자성어로 정리해 보았습니다. 우이독경(牛耳讀經) 뜻 : 소 귀에 경 읽기. 소의 귀에 경을 읽어봤자 아무런 소용이 없으며, 우둔한 사람은 아무리 가르치고 일러주어도 알아듣지 못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입니다. 말을 해주거나 가르치는 입장에서는 아주 답답한 상황인 거지요. 주마가편(走馬加鞭) 뜻 : 달리는 말에 채찍질한다. 형편이나 힘이 한창 좋을 때에 더욱 힘을 더한다는 말로, 열심히 하고 있는 사람에게 더 잘하라고 격려하고 권장하는 것을 말합니다...

사자성어/우정(友情)과 관련된 사자성어(四字成語) 10가지

사자성어/우정(友情)과 관련된 사자성어(四字成語) 10가지 인생을 살아가면서 소중한 게 참 많이 있습니다. 가족도 소중하고 가족만큼 친구도 참 소중한 존재입니다. 그래서인지 친구, 우정과 관련된 속담들도 많고 좋은 글귀들도 많이 있습니다. 오늘은 친구와의 우정에 관한 사자성어를 정리해 보았습니다. 금란지교(金蘭之交) 뜻 : 단단하기가 황금과 같고 아름답기가 난초 향기와 같은 사귐. 두 사람 사이에 서로 마음이 맞고 교분이 두터워서 아무리 어려운 일이라도 해 나갈 만큼 우정이 깊은 사귐을 이르는 말입니다. 지란지교(芝蘭之交) 뜻: 지초와 난초 같은 향기로운 사귐. 벗 사이의 고상한 교제를 이르는 말입니다. 유안진님의 [지란지교를 꿈꾸며] 에세이가 떠오르네요. 너무 좋은 글귀지요. 학창 시절에 즐겨 읽었었는..

사자성어/말(言)과 관련된 사자성어(四字成語) 10가지(2)

사자성어/말(言)과 관련된 사자성어(四字成語) 10가지(2) 사람들과 대화를 하다 보면 같은 말을 해도 말을 재미있게 표현하는 사람이 있고, 아는 게 많아서 대화하면서 많이 배우게 되는 사람도 있습니다. 반면에, 대화하면서도 과장이 심하구나 느끼게 되는 사람도 있고, 혼자서만 말의 주도권을 쥐려 하는 배려 없는 사람도 있습니다. 대화는 즐겁게 해야 하는데, 피하고 싶은 대화가 되지 않도록 연습도 노력도 필요한 거 같습니다. 공부를 하다 보니 말과 관련된 사자성어들이 참 많이 있습니다. 그만큼 말이 중요하다는 거겠지요. 오늘도 말과 관련된 사자성어 10가지 정리해 보았습니다. 청산유수(靑山流水) 뜻 : 푸른 산에 흐르는 맑은 물 막힘없이 썩 잘하는 말을 뜻합니다. 아는 게 많아서 말을 청산유수처럼 잘 하는..

사자성어/말(言)과 관련된 사자성어(四字成語) 10가지(1)

사자성어/말(言)과 관련된 사자성어(四字成語) 10가지(1) 누군가와 대화할 때 한두 마디 하다보면 상대방이 어떤 성격의 사람인지 판단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따뜻한 사람인지, 차가운 사람인지, 진심을 말하는지, 거짓을 말하는지.. 물론 100% 맞을 수야 없겠지만, 짐작했던 대로 느낌이 맞는 경우가 상당히 많습니다. 대화하는 속도에서, 대화하는 말의 높낮이에서, 대화할 때 쓰는 단어나 내용들을 통해서 성격, 성품, 생각이 드러납니다. 저의를 정말 꽁꽁 숨기고 말함에 있어서는 판단이 안 되는 경우가 간혹 있기도 합니다. 그래서 열길 물속은 알아도 한길 사람 속은 모른다는 말이 있는거겠지요. 거짓된 말에 현혹되거나, 말로써 상처 주거나 상처 받는 일이 없기를 바라면서 오늘은 말과 관련된 사자성어 10가지를 ..

2021 한글날 제575주년/옥낭각씨베짜는바위 우리나라에서 가장 긴 우리말 지명

2021 한글날 제575주년/옥낭각씨베짜는바위 우리나라에서 가장 긴 우리말 지명 훈민정음 반포 제575주년 한글날을 맞이했습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가장 긴 우리말 지명이 무언지 아시나요? 대구시 달성군 가창면 주암산에 있는 라고 합니다. 외우기조차 힘든 9자의 우리말 지명. 한번 가서 보고 싶다는 생각이 듭니다 한글날을 맞이하여 우리말 30가지를 정리해 보았습니다. 우물지다 뺨에 보조개가 생기다. 예) 우리 딸의 우물진 볼은 너무 귀엽다. 애면글면 몹시 힘에 겨운 일을 이루려고 갖은 애를 쓰는 모양. 예) 젊어서 애면글면 재산을 모았더니, 노년이 편안했다. 내광쓰광 만나도 모르는 체하며 냉정하게 대하는 모양. 예) 친구와 한번 크게 싸우고 나서는 그 친구와는 내광쓰광 지낸다. 능놀다 쉬어가며 일을 천천..

남한속담vs북한속담 재미있고 비슷한 뜻의 속담 알아보기

남한속담vs북한속담 재미있고 비슷한 뜻의 속담 알아보기 예로부터 민간에 전하여 오는 격언이나 잠언을 '속담'이라고 합니다. 남한에서뿐 아니라 북한에서도 속담을 사용하고 있어요. 그리고 사용하는 속담중에 남한속담과 비슷한 북한속담들도 많이 있습니다. 오늘은 남한속담과 비슷한 북한속담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10가지 정리해 보았습니다. 북한속담만 보았을때도 어떤 의미의 속담인지 충분히 알수가 있겠더라고요. 남한속담 : 도토리 키재기 북한속담 : 참깨가 짧으니 기니 한다. 뜻 : 비슷비슷한데서 굳이 잘잘못을 가리거나 크고 작은것을 가리려하는것을 뜻하는 말입니다. 참깨의 길이로 짧으니 기니 한다니 정말 재미있네요ㅎ 남한속담 : 낫놓고 기역자도 모른다. 북한속담 : 가나다라도 모른다. 뜻 : 아주 무식함을 이르는말...

우리말/비슷한듯 다른말의 단어들/뒤처지다vs뒤쳐지다 늘리다vs늘이다

우리말/비슷한듯 다른말의 단어들/뒤처지다vs뒤쳐지다 늘리다vs늘이다 우리말의 단어를 쓰다보면 소리는 같은데 다른뜻의 단어인 동음이의어들이 있지요? 물론 소리는 다른데 같은뜻의 단어인 이음동의어들도 있습니다. 그리도 단어는 비슷한데, 다른말로 쓰이는 단어들도 참 많이 있습니다. 한끗차이??로 달라지는 비슷한듯 다른말의 단어들을 오늘 정리해 보았습니다. 꼬리, 꽁지 ○ 꼬리 동물의 꽁무니나 몸뚱이의 뒤끝에 붙어서 조금 나와 있는 부분. 예) 개가 꼬리를 올렸다 내렸다 한다. 장어 몸통보다 꼬리를 더 좋아한다. ○ 꽁지 날짐승의 꽁무니에 붙은 깃. 예) 공작이 꽁지를 활짝 폈다. 뒤처지다, 뒤쳐지다 ○ 뒤처지다 어떤 수준이나 대열에 들지 못하고 뒤로 처지거나 남게 되다. 예) 다른 친구들보다 영어성적이 뒤처지..

남한말 북한말 비교 30가지(5) / 첨단기술봉사소 삭갈리다 북한말 알아가는 즐거움

남한말 북한말 비교 30가지(5) / 첨단기술봉사소 삭갈리다 북한말 알아가는 즐거움 요즘 남한말 북한말 비교 포스팅 올리는 내용을 보면서 우리 아이들도 장난스레 북한말 사용을 자주 하고 있어요. 엄마 퇴근할 때 던킨의 '가락지빵' 사달라고 하기도 하고, '꼬부랑국수'는 예사로 쓰며, '송아지동무', 동무하면서 일부러 북한말로 하기도 합니다. '동무'라는 말을 북한에서 워낙에 많이 사용해서 그렇지 우리 남한에서도 친구 대신 '동무' 나 '벗' 을 일상의 단어로 사용하는 것도 괜찮을 거 같습니다. 북한말을 알아갈수록 점점 더 흥미롭습니다. 우리말의 본질을 그대로 사용하기에 더 정겹게 느껴지는 단어들도 많이 있고, 생소했던 북한말도 점점 친숙해지고 있어요. 오늘의 남한말 북한말 비교해서 또 알아보겠습니다. 남..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