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944

사자성어/건강(健康)와 관련된 사자성어(四字成語)15가지

사자성어/건강(健康)와 관련된 사자성어(四字成語)15가지 요즘의 코로나 시국에 특히나 많이 하는 인사가 건강 잘 챙기라는 인사이지요. 개인 위생과 청결은 물론이고 면역을 길러서 스스로의 건강을 잘 챙겨야 하는 중요한 시기가 아닌가 싶습니다. 항상 건강합시다. 건강을 잃으면 모든 걸 잃는 것과 같다는 말이 있지요. 오늘은 건강과 관련된 사자성어로 15가지 정리해 보았습니다. 1. 동병하치(冬病夏治) 겨울동(冬). 병들병(病). 여름하(夏). 다스릴치(治) 겨울병은 여름에 다스린다(치료한다)는 의미입니다. 2. 두한족열(頭寒足熱) 머리두(頭). 찰한(寒). 발족(足). 더울열(熱) 머리는 차게 하고, 발은 따뜻하게 하는 게 건강에 좋음을 이르는 말입니다. 3. 무병장수(無病長壽) 없을무(無). 병들병(病)...

명언/친구(親舊) 관련 명언(名言) 20가지

명언/친구(親舊) 관련 명언(名言) 20가지 인생(人生)을 살아가면서 참 소중한 것이 많이 있습니다. 가족(家族)도 소중하고, 연인(戀人)도 소중하고, 그에 못지않게 친구(親舊) 또한 정말 소중한 존재입니다. 아리스토텔레스의 명언(名言)처럼 진정한 친구(親舊)는 제2의 자신(自身)입니다. 기쁠 때 함께 기쁨을 나누고 싶고, 슬플 때도 함께 슬픔을 나눌 수 있는 든든한 친구(親舊)들이 있어서 살아가는게 덜 외롭고, 많은 의지(依支)가 되고, 삶이 더 행복(幸福)합니다. 오늘은 이 친구(親舊)와 관련된 명언(名言)으로 20가지 정리해 보았습니다. 공감이 되면서 마음에 새겨둘 만한 명언(名言)들이 많이 있습니다. 같이 한번 살펴보겠습니다. 1. 친구란 무엇인가? 두 개의 몸에 깃든 하나의 영혼이다. 2. 풍요..

명언/돈(錢)과 관련된 명언(名言) 20가지

명언/돈(錢)과 관련된 명언(名言) 20가지 '돈(money)' 을 싫어하는 사람이 있을까요? 남녀노소 누구나 다 좋아한다고 해도 과언은 아닐 것입니다. 돈이 원인이 되어 화를 불러일으키는 경우도 많지만, 돈으로 인해서 삶의 만족도가 매우 높아지는 것 또한 사실입니다. 그래서 많은 이들이 물질적으로 풍요로운 부자의 삶을 위해 오늘도 열심히 일하고 또, 돈 버는 법을 연구합니다. 너무 많아도 화가 될 수 있고 너무 적어도 불편한 이 돈과 관련된 명언들로 오늘 20가지 정리해 보았습니다. 1. 돈을 빌려준 사람은 돈을 빌린 사람보다 잘 기억한다. 2. 돈의 가치를 알고자 하거든 가서 돈을 조금 빌려보라. 돈을 빌리러 가는 것은 슬픔을 빌리러 가는 것이다. 3. 가난은 부끄러울 일이 아니지만, 가난을 수치스럽..

사자성어/은혜(恩惠 ) 관련 사자성어(四字成語)10가지

사자성어/은혜(恩惠 ) 관련 사자성어(四字成語)10가지 은혜(恩惠)의 사전적 의미가 '고맙게 베풀어 주는 신세(身世)나 혜택(惠澤)'을 뜻합니다. 살다보면 은혜를 입기도 하고, 베풀기도 합니다. 베풀어준 은혜보다는 받은 은혜가 오래도록 마음에 남아서 그 고마움이 잊혀지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오늘은 여러가지 은혜(恩惠)와 관련된 사자성어로 10가지 정리해 보았습니다. 1. 결초보은(結草報恩) 맺을결(結). 풀초(草). 갚을보(報). 은혜은(恩) 풀을 묶어서 은혜(恩惠)를 갚는다는 뜻으로, 죽어서 혼(魂)이 되더라도 입은 은혜(恩惠)는 잊지 않고 갚는다는 의미입니다. 2. 각골난망(刻骨難忘) 새길각(刻). 뼈골(骨). 어려울난(難). 잊을망(忘) 입은 은혜(恩惠)에 대한 고마움이 뼈에까지 새겨져 잊혀지지..

외래어표기법/외래어 표기의 기본원칙/많이 틀리는 외래어 앙케트 파이팅 프라이드치킨

외래어표기법/외래어 표기의 기본원칙/많이 틀리는 외래어 앙케트 파이팅 프라이드치킨 우리는 일상에서 대화할때 외래어(外來語)를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외래어(外來語)란, 외국으로부터 들어와 한국어처럼 사용하고 있는 단어를 말합니다. 우리가 현재 자주 사용하고 있는 외래어는 1986년 제정. 고시된 외래어표기법(外來語表記法)을 따르고 있으며, 외래어 표기의 그 기본원칙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외래어 표기의 기본원칙 가. 외래어(外來語)는 국어의 현용 24자모만으로 적습니다. 현용 24자모란 자음 14자와 모음 10자를 말합니다. 외래어는 따로 문자를 만들어 쓰지 않으며, 국어의 현용 24자모만으로 적습니다. 나. 외래어(外來語)의 1음운은 원칙적으로 1기호로 적습니다. 예를 들면, (f)의 경우 'ㅎ' ..

사자성어/교훈(敎訓) 관련 사자성어(四字成語)10가지(2)

사자성어/교훈(敎訓) 관련 사자성어(四字成語)10가지(2) 오늘은 교훈(敎訓) 관련 사자성어 10가지를 두 번째로 정리해 보았어요. 하나씩 살펴보겠습니다. 1. 자업자득(自業自得) 스스로자(自). 업업(業). 스스로자(自). 얻을득(得) 불교(佛敎)에서 제 스스로 저지른 일의 과보(果報)를 제스스로 받음을 뜻하는 말로, 자기가 저지른 일은 결과에 대해서 스스로가 져야 함을 이르는 말입니다. 2. 역지사지(易地思之) 바꿀역(易). 땅지(地). 생각할사(思). 갈지(之) 처지(處地)를 바꾸어 생각해 본다는 뜻으로, 상대방의 처지와 입장에서 생각해 봄을 이르는 말입니다. 3. 거안사위(居安思危) 살거(居). 편안안(安). 생각할사(思). 위태할위(危) 편안하게 있을 때도 위태로움을 생각한다는 뜻으로, 평안(平..

사자성어/교훈(敎訓) 관련 사자성어(四字成語)10가지(1)

사자성어/교훈(敎訓) 관련 사자성어(四字成語)10가지(1) 오늘은 마음에 새겨 두어야 할 내용으로 교훈(敎訓)에 관련된 사자성어 10가지 정리해 보았습니다. 일상에서도 현재 많이들 사용하고 있는 사자성어입니다. 하나씩 살펴 보겠습니다. 1. 금과옥조(金科玉條) 쇠금(金). 과정과(科). 구슬옥(玉). 곁가지조(條) 금옥(金玉)과 같은 법률(法律)이라는 뜻으로, 소중히 여기고 지켜야 할 규칙(規則)이나 교훈(敎訓)을 이르는 말입니다. 2. 정문일침(頂門一鍼) 정수리정(頂). 문문(門). 한일(一). 침침(鍼) 정수리에 침 하나를 꽂는다는 뜻으로, 상대방의 급소를 찌르는 따끔한 충고(忠告)나 교훈(敎訓)을 이르는 말입니다. 3. 사필귀정(事必歸正) 일사(事). 반드시필(必). 돌아갈귀(歸). 바를정(正) 일..

코로나 자가진단키트 사용법/셀트리온 디아트러스트 코로나19 항원 홈 테스트

코로나 자가진단키트 사용법/셀트리온 디아트러스트 코로나19 항원 홈 테스트 5일간의 설연휴를 보내고 오늘은 설 연휴의 마지막 날입니다. 내일이면 출근ㅠ. 그래도 내일이 월요일이 아닌 목요일이어서 조금은 위안이 됩니다. 설 연휴는 집콕만 하자고 마음먹은 터라 이동 없이 집에서만 지내긴 했지만 연휴가 길었기에 나도 모르는 사이에 혹시라도..하는 마음이 들기도 합니다. 코로나 신규확진자수가 계속적으로 늘고 있는 상황이다 보니 회사에서 설 연휴 마지막 날에 코로나 자가진단키트로 개별적으로 검사한 후 출근하라는 공지가 있었고, 자가진단키트도 회사에서 제공해주었어요. 주위에 보니 설연휴 끝나고 회사들마다 이렇게 자가진단 후 출근하도록 한 회사들이 제법 많네요. 오늘은 신규 확진자수가 2만명이 넘었다고 합니다. 설 ..

동해선 광역전철 부산 부전역에서 울산 태화강역까지 76분 이용후기

동해선 광역전철 부산 부전역에서 울산 태화강역까지 76분 이용후기 부산 부전역에서 일광까지만 운행하던 동해선 광역전철이 요즘은 울산 태화강역까지 2단계 연장 개통되어 운행되고 있습니다. 또, 향후에는 북울산역까지의 연장이 예정되어 있습니다. 오래전에 울산 태화강을 버스로 한번 다녀온적이 있었는데, 버스로는 시간 소요가 많이 되어 울산은 잘 안 가게 되더라고요. 동해선 광역전철이 울산 태화강까지 연장 개통되었다고 해서 며칠전에 일부러 동해선 광역전철을 이용해 울산 태화강엘 다녀왔습니다. 1. 동해선 광역전철 1) 개통일 : 2021. 12. 28. 2) 소요시간 : 부전-태화강 간 76분 3) 이용운임 : 1,300 ~ 2,500원 (어른 교통카드 기준) 부산의 부전역 모습입니다. 부전역은 부산역처럼 규모..

사자성어/음식(飮食)과 관련된 사자성어(四字成語)15가지

사자성어/음식(飮食)과 관련된 사자성어(四字成語)15가지 1. 산해진미(山海珍味) 뫼산(山). 바다해(海). 보배진(珍). 맛미(味) 산과 바다에서 나는 온갖 진귀한 재료들로 아주 잘 차린 맛이 좋은 음식을 이르는 말입니다. 2. 반생반숙(半生半熟) 반반(半). 날생(生). 반반(半). 익을숙(熟) 음식이 반쯤은 설고, 반쯤은 익은 상태를 뜻하는 말로, 아직 기술이 미숙한 상태를 이르는 말입니다. 3. 취금찬옥(炊金饌玉) 불땔취(炊). 쇠금(金). 반찬찬(饌). 구슬옥(玉) 금으로 밥을 짓고 옥으로 반찬을 만든다는 뜻으로, 아주 좋은 음식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입니다. 4. 온의미반(溫衣美飯) 따뜻할온(溫). 옷의(衣). 아름다울미(美). 밥반(飯) 따뜻한 옷과 맛 좋은 밥이라는 뜻으로, 따뜻한 의복을 ..

728x90